본문 바로가기
생활 상식

청년내일채움공제 자격조건 신청방법

by 킹센스 2024. 1. 7.
반응형

청년내일채움공제란 중소기업 등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들의 장기근속을 위하여 고용노동부와 중소벤처기업부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사업입니다. 2년형과 3년형이 있으며 각각 300만 원, 600만 원을 적립하면 만기 시 1,600만 원+이자 수령이 가능하답니다. 하지만 신청자격 조건이 까다롭기 때문에 꼼꼼하게 알아보고 신청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청년내일채움공제 자격조건 및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대상은 어떻게 되나요?

청년내일채움공제 대상자는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인 자로서 아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합니다. - 연령: 군필자의 경우 복무기간에 비례하여 참여제한 연령을 연동하여 적용하되 최고 만 39세로 한정 (단, 제대군인의 경우 의무복무기간에 비례하여 참여제한 연령을 연동하여 적용하되 최고 만 39세로 한정) - 학력: 제한은 없으나 정규직 취업일 현재 고등학교 또는 대학 재학·휴학 중인 자는 제외(졸업예정자 가능) - 고용보험 이력: 정규직 취업일 현재 고용보험 가입이력이 없거나 최종학교 졸업 후 고용보험 총 가입기간이 12개월 이하. 단, 3개월 이하 단기 가입이력은 총 가입기간에서 제외 다만, 고용보험 총 가입기간이 12개월 초과자이더라도 최종 피보험자격 상실일로부터 실직기간이 6개월 이상인 자는 가능

 

청년내일채움공제 지원내용은 어떻게 되나요?

청년내일채움공제는 2년형과 3년형이 존재하며 각 유형별로 상이한 지원내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먼저 2년형의 경우 매월 125,000원씩 24개월간 납입하게 되면 정부지원금 900만 원 + 기업기여금 400만 원 + 근로자 납입금 300만 원이 더해져 약 1,6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게 됩니다. 다음으로 3년형의 경우 매월 165,000원씩 36개월간 납입하게 되면 정부지원금 1,800만 원 + 기업기여금 600만 원 + 근로자 납입금 600만 원이 더해져 약 3,0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게 됩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청년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 접속 > 로그인 > 마이페이지 > 공제가입신청 메뉴 클릭 > 신청서 작성 완료 순으로 진행됩니다.

반응형